많은 사람들은 복잡한 한자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검색할 때 불편함을 느낀다. 특히 음이나 획순을 모르는 경우, 원하는 글자를 찾기란 쉽지 않다. 이런 불편을 해소해 주는 기능이 바로 다음 포털에서 제공하는 한자사전의 필기인식 기능이다. 이 기능을 활용하면, 사용자는 한자의 음이나 부수를 몰라도, 화면에 직접 한자를 쓰는 것만으로도 의미와 음, 용례까지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. 특히 이 기능은 학생, 교사, 외국인 학습자, 공무원 시험 준비생들에게 큰 도움이 된다. 이 글에서는 다음 포털의 한자사전에서 필기인식 기능을 사용하는 정확한 방법과 주의사항, 그리고 팁까지 자세하게 안내한다.
1. 다음 포털에서 한자사전 접속하기
먼저, 인터넷 브라우저나 모바일에서 다음(Daum) 포털에 접속한다.
검색창에 “한자사전”을 입력한 후 검색하면, 상단에 “Daum 한자사전” 링크가 보인다. 이 링크를 클릭하면 한자사전 페이지로 진입할 수 있다.
2. 필기인식 기능 실행하기
다음 한자사전에서는 필기 입력기능을 직접 지원한다. 사용 절차는 다음과 같다:
- 검색창 옆에 있는 ‘필기입력 아이콘 ✍️’ 클릭
데스크탑에서는 검색창 오른쪽 또는 아래쪽에 펜 모양의 아이콘이 보인다.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필기입력 창이 팝업으로 뜬다. - 모바일에서는 화면 하단 도구모음 또는 키보드 위 필기 아이콘 선택
다음 모바일 웹 또는 앱에서도 필기입력 기능을 제공한다. 키보드 상단 또는 하단에 펜 모양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된다.
3. 화면에 직접 한자 쓰기
필기입력 창이 열리면, 마우스(PC) 또는 손가락/터치펜(모바일)을 사용해 화면에 한자를 작성한다.
- 획순을 정확히 몰라도 무방하지만, 글자 모양은 최대한 또박또박 쓰는 것이 좋다.
- 작성한 글자가 인식되면, 하단 또는 옆에 자동으로 후보 한자 목록이 표시된다.
예를 들어, ‘齒’나 ‘鑛’처럼 보기 어려운 한자도 필기입력만으로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.



4. 원하는 한자 선택 후 뜻 확인하기
후보 목록에서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면,
해당 한자의 뜻, 음, 부수, 총획수, 예문 등을 확인할 수 있다.
특히 한자 등급(급수)나 활용 예시가 함께 제공되므로 학습에도 매우 유용하다.
5. 활용 팁 및 주의사항
항목 | 설명 |
---|---|
정확한 입력 팁 | 한자를 작게 쓰면 인식률이 떨어지므로, 입력창을 꽉 채우는 크기로 쓰는 것이 좋다. |
불완전한 입력 | 일부 한자는 획이 빠져도 인식되지만, 의미가 유사한 다른 글자가 먼저 제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. |
빠른 재입력 | 잘못 인식되었을 경우 ‘지우기’ 버튼을 눌러 바로 다시 입력할 수 있다. |
결론: 다음 한자사전의 필기인식 기능은 누구에게나 유용한 도구다
다음 포털에서 제공하는 한자사전의 필기인식 기능은 직관적이고 정확도가 높다는 점에서 매우 큰 장점을 가진다. 복잡한 한자를 찾기 위해 여러 단계를 거칠 필요 없이, 직접 쓰기만 하면 원하는 정보를 바로 얻을 수 있다. 이 기능은 특히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, 수험생, 그리고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실질적인 학습 도구가 된다.
한자 검색이 막막할 때, 다음의 필기인식 기능을 활용해보면 그 편리함을 바로 체감할 수 있다.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