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터넷을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라면, 자동으로 지역에 맞는 구글 도메인으로 접속되는 경험을 한 적이 있을 것이다. 특히 한국에서는 google.co.kr
로 접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. 하지만 일부 사용자들은 미국 구글, 즉 google.com
으로 직접 접속하고 싶은 니즈가 있다. 그 이유는 검색 결과가 지역 맞춤형이 아닌 글로벌 기준의 검색 결과를 원하거나, 특정 정보를 미국 기준으로 확인하고 싶을 때가 대표적이다. 이 글에서는 단순한 접속을 넘어서, 영구적으로 미국 구글로 접속하는 방법, 검색 결과를 미국 기준으로 고정하는 팁, 그리고 모바일과 데스크탑에서 각각 적용하는 상세한 방법까지 단계별로 소개한다. 이 정보는 해외 마케팅, 글로벌 트렌드 조사, 해외 뉴스 검색 등에 유용하며, 특히 정확하고 빠른 정보에 접근하려는 사용자에게 꼭 필요한 가이드가 될 것이다.
✅ 미국 구글로 바로 접속하는 기본 방법
1. 직접 도메인 입력하기
가장 간단한 방법은 브라우저 주소창에 직접 www.google.com/ncr
을 입력하는 것이다.
ncr
은 "No Country Redirect"의 약자다.- 이 주소로 접속하면 구글이 자동으로 지역을 감지해 리디렉션하는 기능을 무시하게 된다.
✅ 미국 구글을 기본으로 설정하는 방법 (영구 적용)
1. 브라우저 설정을 활용하는 방법
- 크롬 기준 설정 방법
- 크롬 브라우저에서 우측 상단의 점 세 개 메뉴 클릭
- '설정' → '검색 엔진' → '검색 엔진 관리' 클릭
- 새 검색 엔진 추가
- 이름: 미국구글
- 키워드: google.com
- URL:
https://www.google.com/search?q=%s&hl=en&gl=us
- 해당 검색 엔진을 기본으로 설정하면, 주소창 검색 시 미국 구글 결과가 출력된다.
- Edge, Firefox 등 다른 브라우저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며,
hl=en
은 영어로 언어 설정,gl=us
는 지역을 미국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.
✅ 모바일에서 미국 구글 접속하는 법
안드로이드 & 아이폰 공통 방법
- 모바일 브라우저에서
google.com/ncr
로 접속 - 이후 홈화면에 추가 (크롬 기준 → 메뉴 > 홈 화면에 추가)
- 접속 시 이 아이콘을 사용하면 매번 미국 구글로 이동하게 된다.
구글 앱 사용 시
구글 앱은 기본적으로 지역 정보를 따라가므로, 설정에서 언어를 영어(미국)로 바꾸고 VPN 사용 시 더 확실하게 적용된다.
✅ 미국 검색 결과 고정 설정 팁
검색 결과도 미국 기준으로 정확히 보고 싶다면, 다음 URL을 사용하면 된다:
https://www.google.com/search?q=검색어&hl=en&gl=us&pws=0
pws=0
은 개인 맞춤 검색을 끄는 옵션이다.- 이 URL 형식을 활용하면 완전히 개인화 되지 않은 미국 기준의 검색 결과를 볼 수 있다.
✅ 미국 구글을 써야 하는 이유
- 글로벌 SEO 분석: 검색 트렌드가 한국과는 매우 다르다.
- 해외 마케팅 조사: 경쟁사 분석 및 트렌드 파악 시 필수
- 뉴스 및 정책 정보: 미국 정부나 글로벌 기업 관련 뉴스를 신속하게 파악 가능
- AI 학습/개발 관련 자료 탐색: 구글닷컴은 훨씬 폭넓고 깊이 있는 자료가 먼저 노출됨



✅ 마무리 및 추가 팁
미국 구글을 이용하면 단순히 다른 국가의 검색 결과를 보는 것을 넘어, 정보 접근의 깊이와 질이 달라진다. 특히 글로벌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해외 진출을 고려 중인 사용자라면 반드시 익혀야 할 필수 스킬이다. 이 가이드를 활용해 자신만의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보자.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