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산은 대한민국 제2의 도시로서, 일상적인 통근과 통학, 관광객의 이동까지 대부분을 시내버스와 지하철 같은 대중교통에 의존하고 있습니다. 특히 최근 몇 년간 급격한 물가 상승과 유류비 인상으로 인해, 부산광역시는 시내버스 요금 체계에 변화를 주었습니다. 이로 인해 시민들과 방문객들은 기존보다 더 높은 요금을 지불하게 되었으며, 교통비 부담을 실감하고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3년 10월 6일 오전 4시부터 적용된 최신 요금표를 기준으로, 부산 시내버스 및 기타 관련 교통수단들의 요금을 상세히 안내하고, 나아가 어떤 식으로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을지 현실적인 방법까지 소개합니다. 특히, 어린이 요금 무료화 등 일부 긍정적인 변화도 있기 때문에 꼭 체크해 두어야 할 내용이 많습니다.

🚌 1. 부산 시내버스 요금 – 일반버스 기준
승객 유형 | 교통카드 요금 | 현금 요금 |
---|---|---|
어른 | 1,550원 | 1,700원 |
청소년 | 800원 | 900원 |
어린이 | 무료 | 400원 |
🌙 2. 심야버스 요금 (일반형)
승객 유형 | 교통카드 요금 | 현금 요금 |
---|---|---|
어른 | 2,000원 | 2,100원 |
청소년 | 1,000원 | 1,100원 |
어린이 | 무료 | 600원 |
✅ 심야버스는 오후 11시 이후부터 운행되며, 일반버스보다 요금이 높습니다. 카드 사용 시 할인 혜택이 있으니 반드시 교통카드 사용을 추천합니다.
🚍 3. 좌석버스 (2000번 시내구간)
승객 유형 | 교통카드 요금 | 현금 요금 |
---|---|---|
어른 | 2,100원 | 2,200원 |
청소년 | 1,350원 | 1,700원 |
어린이 | 무료 | 1,300원 |
🌃 4. 심야 좌석버스
승객 유형 | 교통카드 요금 | 현금 요금 |
---|---|---|
어른 | 2,500원 | 2,600원 |
청소년 | 1,550원 | 1,900원 |
어린이 | 무료 | 1,500원 |
🚏 5. 2000번 시외구간 버스
승객 유형 | 교통카드 요금 | 현금 요금 |
---|---|---|
어른 | 5,700원 | 6,000원 |
청소년 | 4,400원 | 5,000원 |
어린이 | 4,000원 | 4,300원 |
❗ 주의사항: 시외요금은 일반 시내버스 요금과 달리 훨씬 높기 때문에, 이용 전 노선 확인이 필수입니다.
🚐 6. 마을버스 (금정구 7번 포함)
승객 유형 | 교통카드 요금 | 현금 요금 |
---|---|---|
어른 | 1,480원 | 1,600원 |
청소년 | 750원 | 900원 |
어린이 | 무료 | 300원 |
🏞️ 7. 산성버스 (203번 한정면허)
승객 유형 | 교통카드 요금 | 현금 요금 |
---|---|---|
어른 | 2,100원 | 2,200원 |
청소년 | 1,350원 | 1,700원 |
어린이 | 무료 | 1,300원 |
💬 산성 지역 주민은 시내버스 요금이 적용됩니다.
🌊 8. 기장군버스
승객 유형 | 교통카드 요금 | 현금 요금 |
---|---|---|
어른 | 1,480원 | 1,600원 |
청소년 | 750원 | 900원 |
어린이 | 무료 | 300원 |
🚖 9. 타바라 (DRT: Demand Responsive Transport)
승객 유형 | 교통카드 요금 |
---|---|
어른 | 1,550원 |
청소년 | 800원 |
어린이 | 무료 |
🛎️ 타바라는 예약형 교통수단(DRT)으로, 일반 버스보다 유연한 운행을 제공합니다. 지정된 시간과 장소에서 사전 예약 후 이용 가능합니다.
📌 교통카드 이용의 장점 요약
- 카드 이용 시 현금 대비 최소 100원 ~ 최대 200원 할인
- 환승 할인 자동 적용
- 어린이 무료 요금은 교통카드로만 가능
- 누적 마일리지 또는 이벤트 혜택 참여 가능
✨ 마무리: 요금 인상에 대비하는 똑똑한 대중교통 이용법
부산 시내버스 요금은 이제 단순히 “버스비가 얼마냐”의 문제가 아닙니다. 어떤 시간대, 어떤 노선을 이용하느냐에 따라 요금이 크게 달라질 수 있고, 교통카드 사용 여부와 환승 방식에 따라 최대 수백 원까지 절약할 수 있습니다. 특히 2023년 10월의 대대적인 요금 조정 이후, 어린이 요금 무료화와 같은 긍정적인 변화도 있었기에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.
앞으로도 물가 상승에 따라 요금 조정이 반복될 수 있으므로, 정확한 최신 정보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, 교통카드를 적극 활용하며, 할인 정책을 꼼꼼히 체크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.
댓글